1. 거스름돈
물건 값을 price, 잔돈을 change 로 정의한다.
물건가격의 일의자리는 0임으로 십원 이상의 가격을 가짐을 알 수 있다.
따라서 change를 10으로 나눴을 때 나머지가 0과 같다.
잔돈의 500원 갯수를 a, 100원의 갯수를 b, 50원의 갯수를 c, 10원의 갯수를 d로 정의한다.
change를 500으로 나누고 소수점 이하의 수 버림을 통해 a의 값을 얻을 수 있고
change를 500으로 나눈 나머지를 다시 100으로 나누고 소수점 이하의 수 버림을 통해 b값을 얻어낸다.
이러한 방식으로 c,d 값도 구할 수 있다.
2. 띄어쓰기 제거
input을 통해 입력된 문자열을 split으로 쪼개면
띄어쓰기가 구분선이 되어 배열형태의 데이터가 된다.
예) input('This is sparta !').split() = ['This', 'is', 'sparta', '!']
띄어쓰기는 (배열의 길이 - 1) 개 임으로
이 배열의 길이인 n 만큼 반복문을 돌리면
n-1까지 돌면서 배열의 값을 다 더한 값을 sentence로 정의한다.
이때, 문자열이 더해지면서 띄어쓰기가 제거됨을 알 수 있다.
'개발노트 > coding tes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rogrammers 알고리즘 문제풀이] K번째 수, 완주하지 못한 선수 (0) | 2022.01.25 |
---|---|
[알고리즘(algorithm) (2) Arraylist와 Linkedlist] 어떤 알고리즘을 선택해야할까? (0) | 2022.01.11 |
[BAEKJOON 알고리즘 문제풀이] 문자열 - 숫자의 합, 문자열 반복 (0) | 2022.01.10 |
[구름 level 알고리즘 문제풀이] 뱀이 지나간 자리, 의좋은 형제 (0) | 2022.01.07 |
[구름 level 알고리즘 문제풀이] 홀짝판별, 리그경기 횟수 구하기 (0) | 2022.01.05 |